내가 본 김병관

김중순
김중순전 고려사이버대 총장
화정 선생과 처음 만난 건 1981년이다. 1965년부터 미국에 가서 공부하고 살던 내가 그해 외교안보연구원에 처음 방문했을 때였다. 화정 선생은 당시 집에서 쓰시던 르망 승용차를 빌려주시면서 타고 다니라고 하셨을 정도로 마음이 넓었다.

1989년 풀브라이트 재단 지원으로 서울대에 와 있을 때도 화정선생을 자주 뵈었고, 때로는 가족끼리도 모임을 갖곤 했다. 1993년내가 연세대 초빙교수로 한국에 와 있을 때도 종종 만나 뵙곤 했다.

그 무렵 화정 선생으로부터 인촌 김성수 선생에 대한 전기를 영문으로 소개해 달라는 말씀을 듣게 됐다. 나는 미국 인류학회 안에 한국인류학회를 만들고 한국의 참모습을 서구에 알리는 일에 매달려왔던 만큼 인촌 선생의 생애를 통해 한국의 근현대사를 제대로 알릴수 있다고 생각해 전기를 집필하게 됐다. 5년 동안 수많은 자료를 검토해 나온 결과물이 1998년 뉴욕주립대 출판사에서 나온 ‘한국의 민족주의 기업가 김성수의 생애, 1891-1955(A Korean NationalistEntrepreneur: A Life History of Kim Sŏngsu, 1891-1955)’이다. 그동안 서양에 출판된 인촌 관련 논문은 몇몇 있었지만 왜곡된 것이 많았다. 이 책은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인촌 김성수 선생을 본격적으로 조명한 최초의 영문 전기이다. 국내에도 같은 해 출간됐다.

이후 화정 선생과 이런저런 인연을 이어가던 중 2000년 동아일보로부터 “화정께서 사이버대학을 설립하려는데 이것을 맡아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나는 처음에 무슨 총장이냐며 웃어넘겼다. 미국에서자리 잡고 36년을 살았는데 한국에 돌아가면 어떻게 살아야 할지 엄두가 나지 않던 때였다. 게다가 한국 사회에서 대학 총장을 하려면 별의별 일을 다 해야 할 텐데, 이런저런 걱정도 앞섰다. 당시 나는 63세였다. ‘2년만 더 지나면 미국에서 편하게 석좌교수 하고 정년퇴직할텐데…’, 이런 생각도 들었다.

확답을 주지 않은 채 망설이고 있을 때 서울에 있던 큰아들이 전화를 걸어와 이렇게 말했다. “제가 미국에서 자랄 때 할아버지가 있는 아이들을 보니까 부러웠습니다. 서울에서 자식을 키우다 보니 더 그런 생각이 듭니다. 화정 선생께서 와달라고 하실 때 서울에 들어오세요. 오셔서 애들한테 할아버지 역할도 좀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그 전화를 받고 나는 한국행을 결심했다.

고려사이버대는 2000년 10월 인가를 받고 2001년 2월에 개교했다. 총장 취임식은 2001년 2월 20일 동아일보 광화문 사옥 21층에서열렸다. 당시는 동아일보가 정부와의 긴장 관계 속에서 한창 어려움을 겪고 있던 때였다. 사이버대는 이런 엄혹한 상황 속에서 출범했다.

화정 선생은 당시 한국 교육의 문제점을 정확히 꿰뚫고 있었다. 한번은 내가 화정 선생께 “왜 나를 총장을 시켰느냐”고 물었다. 화정 선생께선 이렇게 답했다.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 처음 시작하는 대학이다. 한국에서 제일 나쁜 버릇이 있는 곳이 학교인데 그걸 답습하는 학교는 안 하겠다. 내가 전권을 줄 테니 온전히 미국식으로 해봐라.” 나는 설마 했다. 그래서 내가 처음 오자마자 직원들 연봉제를 실시하자고 했다. 화정은 흔쾌히 “좋다. 못할 게 뭐 있냐”라고 하셨다.

한번은 동아일보에 우리와 경쟁 관계에 있던 서울디지털대의 특집기사가 크게 실렸다. 나는 오명 동아일보 회장에게 가서 “우리 경쟁 학교를 이렇게 크게 내줄 수 있느냐”고 따졌다. 이어 화정 선생께도 “왜 동아일보에 우리 사이버대를 크게 다뤄 달라고 부탁을 안 하느냐”고 말했다. 그랬더니 화정 선생은 “내가 그렇게 하면 안 된다. 우리 학교 기사를 써달라고 부탁하는 건 안 된다”고 단호하게 말씀하셨다. 그럴 정도로 신문사나 교육부 같은 곳에 민원을 하시지 않고 원칙을 지키셨다.

화정 선생의 지론은 “이사장이 총장에게 이래라저래라 하면 안 된다”는 것이었다. 그러면 학교가 산으로 간다는 생각이었다. 이사장은학교가 필요로 하는 걸 지원하는 자리이지 간섭하는 자리가 아니라는게 그분의 뜻이었다. 실제로 화정 선생은 내게 부당한 지시나 간섭을 한 번도 하지 않으셨다.

화정 선생은 소소한 것도 놓치지 않고 눈여겨보실 만큼 디지털대에 대한 애정이 컸다. 한번은 학교에 와서 손을 좀 씻으려고 1층에 있는 화장실에 갔는데 수건이 더럽더라며 좀 깨끗한 걸로 비치했으면 좋겠다고 하셨다. 또 한번은 학교 정원에 소나무 하나가 죽어가던데 어떻게 손을 좀 봐서 살려야 하지 않겠냐고 하신 적도 있다. 나무 하나까지 구석구석을 애정 어린 시선으로 바라보셨다.

나중에 화정 선생이 병원에 입원해 계실 때도 나올 수만 있으면 어김없이 디지털대를 찾아 꼭 한 바퀴를 둘러보고 가셨다. 그때도 학교에 와서 나를 만나면 괜히 일하는 데 지장을 준다고 해서 사무실에는 절대로 올라오시지 않았다. 간혹 내가 화정 선생이 오시는 걸 미리 알고 내려가면 교내를 둘러보시다가도 갑자기 “일 끝났다” 하곤 서둘러 돌아가시곤 했다. 그렇게 교문을 나서던 화정 선생의 뒷모습이 기억난다. 참으로 넉넉하신 분이었다.

화정 선생이 말씀을 못하게 됐을 때 필담을 나눈 적이 있다. 나는 그분이 그렇게 글을 많이 쓰는 걸 처음 봤다. 평소 말씀이 없으셨던 때와 달리 마음속에는 그토록 하고 싶은 말씀이 많았던 것이었다.

화정 선생의 인간적인 면모도 잊을 수가 없다. 내가 많은 사람들을 겪어봤지만 그분처럼 인정이 많은 분을 본 적이 없다. 그런 걸 밖으로 잘 표현하지 못할 뿐이었다.

또 화정 선생처럼 머리 좋은 사람 역시 본 적이 없다. 만약 화정 선생이 학자로 공부를 계속했더라면 정말 큰일을 냈을 것이다. 특히 숫자에는 귀재였다. 나는 그분께 학교 경영에 관해 숫자를 얘기할 필요가 없었다. 전부 외우고 다니셨기 때문이다. 심지어는 6개월 후에 만날 장소와 시간까지 전부 기억하셨다. 수첩을 갖고 다니지 않아 적지도 않았음에도 전부 정확히 기억하고 있었다. 기억력이 정말 비상한 분이셨다.

화정 선생만큼 소탈한 분도 없다. 사실 그분 정도 되는 지위와 형편이라면 호텔 일류식당에 가서 매일 밥을 먹어도 될 것이다. 아마 나만큼 그분과 같이 밥을 자주 먹은 사람도 많지 않을 것 같다. 서울과 미국, 그리고 유럽에서 만났을 때 단 한 번도 일류 고급식당에 간 적이 없다. 서울에서 가장 많이 간 곳은 설렁탕집인 하동관이었고, 그 다음이 서린낙지였다. 그 다음으로 잘 가는 곳이 참숯골 고깃집이었는데 고깃집은 정말 어쩌다 가는 곳이었다. 화정 선생은 이렇게 늘 서민적이고 편안한 분이었다.

선생은 내 기억에 이런 모습들로 남아 있지만 핵심은 역시 디지털대 설립자로서 화정이었다. 화정 선생은 컴퓨터에 능숙한 세대가 아님에도 온라인이 미래 세상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일찌감치 내다봤다. 앞으로는 사이버 교육이 대안이 될 것이라고 정확히 예측한 것이다. 화정이 지금까지 살아 계셨으면 세상을 꿰뚫는 혜안으로 더 많은 일을 하셨을 텐데 안타깝기 그지없다. 화정 선생이 가신 지 벌써 10년, 그 모습이 더욱 그리워진다. 목록